틱장애 (Tic)는 어르신분들 또는 나이가 있으신 분들이 보기에는 단순한 버릇으로 보이기 때문에 어렸을 때 혼내거나 놀라게 하면 버릇이 고쳐질 것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아,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버릇은 단순한 버릇이 아닌 틱장애라는 신경학적인 질환으로, 자발적이고 반복적인 움직임과 소리를 일으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아,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틱장애는 일시적이거나 성인이 되어서도 치료되지 않아 만성적으로 남을 수 있으며, 틱장애는 증상과 원인을 이해하고 주변 사람과 환경에 따라 자연스럽게 없어지거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 틱장애의 원인 및 증상, 치료, 관리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틱장애(Tic)란?
틱장애(Tic)란? 소아 또는 청소년기 시절부터 나타나는 증상으로 특별한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신체의 일부를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는 질환입니다.
틱은 학령기 아동에게 많이 나타나며, 전체 아동의 10~20%는 일시적인 틱장애 증상을 보이지만 틱의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일과성 틱장애는 5~15%의 아동, 1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만성 틱장애는 1%의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틱은 대표적으로 음성틱과 운동틱으로 나뉘지만 드문 경우로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을 뚜렛병(Tourette’s Disorder)이라고 하며, 한동안 큰 이슈를 불러왔던 뚜렛 증후군입니다.
뚜렛병의 아동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강박증, 학습장애 등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틱장애(Tic) 원인
틱장애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으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전적인 요인이나 출산 과정 중 뇌 손상이나 세균 감염과 관련된 면역 반응 이상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환경적 요인도 작용하겠지만 아직은 확실하지 않은 추측일 뿐이며 각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적 요인
틱장애의 유전적 요인은 말 그대로 소아, 청소년 틱장애가 가족 내에서 유전될 수 있으며, 가족 구성원 중 틱장애 내력이 있다면 다른 가족 또한 틱 관련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경 생리학적 요인
틱장애의 신경 생리학적 요인은 중추 신경계의 이상 활동과 관련될 수 있으며,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관련된 신경회로 작동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며, 도파민은 운동 제어 및 보상과 관련된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외에도 뇌의 구조적 이상이나 기능적 이상 및 호르몬 문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환경적 요인은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는 틱장애의 발생과 증상 악화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교 또는 가정에서의 사소한 스트레스 또한 틱장애의 큰 영향을 줍니다.
학교에서의 어려움, 학업적 압박, 사회적 부적응은 아이에게 있어서 엄청난 스트레스를 초례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주변 환경에서 틱을 감추거나 제어하도록 요구할 경우, 이로 인한 환자의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틱장애의 발현 및 증상 악화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틱장애(Tic) 증상
틱장애의 증상은 크게 운동틱과 음성틱 두 가지로 나뉘며 증상의 강도는 아주 심한 경우와 남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수준의 미약한 정도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운동틱
운동틱의 보편적인 증상은 눈 깜박임, 얼굴 찡그림, 특정 신체를 움직이는 동작이 있으며, 가장 흔한 행동은 얼굴을 찡그린다거나 입맛을 다시는 등의 증상으로 초기에 틱장애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음성틱
음성틱의 특징으로는 ‘흠~~’등의 허밍이 가장 대표적이며 외에도 킁킁거리기, 목을 떨거나 치켜안기, 혀를 씹으며 소리 내기, 갑작스러운 고음을 내는 등 다양한 증상으로 틱장애를 알 수 있습니다.
두 가지의 증상이 모두 나타난다면 그 증상의 정도가 심하다면 뚜렛병(Tourette’s Disorder)을 의심해 보아야 하며, 뚜렛병의 아동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강박증, 학습장애 등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니 함께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틱장애(Tic) 치료
틱장애의 확실한 원인을 모르듯이 정확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틱장애의 치료방법은 약물 치료로 일시적인 틱장애가 아닌 만성적인 틱장애의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이루어집니다.
틱장애의 약물치료 기간은 증상의 심각도 여부에 따라 복용 기간이 달라지며 대략 12~18개월 복용 후 점차 약물의 복용량을 줄이기도 합니다.
틱장애의 약물치료는 증상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심각도를 보여주는 경우 또는 성인이 되어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아 만성질환으로 이어진 경우에 실시합니다.
소아, 청소년 틱장애 관리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치료방법은 환자의 증상과 상황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전문적인 의료진과 상담하여 개인 맞춤형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틱장애(Tic) 관리 방법
틱장애는 치료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관리입니다. 약물 치료를 하여도 틱 증상을 완화시켜줄 뿐 완전한 치료가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틱장애는 관리를 중요시하며 초기에 틱장애를 발견하신다면 다음과 같이 관리해 주신다면 약물치료 없이도 일시적인 틱으로 만드는데 도움이 되며, 이미 만성 틱장애로 보이더라도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관찰 및 파악
틱장애는 자신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주변의 도움도 요하는 질환으로 틱의 형태와 빈도를 관찰하여 어떠한 상황에 틱증상이 심해지는지, 틱의 형태가 어떤 식으로 변하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하여 틱의 패턴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처로 치료 방향 또는 원인을 합니다.
행동 요법
행동 요법은 자신의 틱장애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틱장애 증상을 억제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행동을 학습시켜 제어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환경 조성
틱장애 증상 악화에 가장 큰 원인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이는 학교 또는 가정의 환경을 조성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틱증상 악화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교사, 동료, 친구 등의 주변인들이 틱장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작은 배려가 필요하며, 환자와 가족분들은 환경에서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틱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을 최대한 피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틱장애의 관리방법을 알려드렸지만 필요에 작업치료, 심리치료, 사회적 지원 등을 함께 받아본다면 틱장애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소아,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틱장애의 증상을 단순한 버릇으로 생각하여 혼을 내고, 억지로 제재하려 한다면 일시적인 틱으로 지나칠 수 있는 단순한 질환이 스트레스로 인하여 성인이 되어도 만성틱으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틱장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증상, 원인을 바르게 알고 초기에 관리를 잘 해준다면 증상 완화 또는 자연스럽게 지나갈 수 있는 질환입니다.